올해 1월, 취업을 준비 중이던 후배가 내게 물었다.
“형, 국민취업지원제도 그거 하면 진짜 돈 주는 거예요?”
그 물음 하나로 같이 고용센터에 가서 상담도 받고 신청까지 진행하게 됐는데,
정말로 후배는 매달 30만 원을 6개월간 받고, 직업훈련까지 연계됐다.
직접 보니 단순한 복지가 아니라,
“실제로 취업을 도와주려는 실효성 있는 제도”라는 걸 체감했다.
다만, 신청 조건이 조금 까다롭고
준비서류가 헷갈리는 경우가 많아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최신 기준에 맞춘 국민취업지원제도의 신청자격과 서류를 정리했다.
정부가 취업을 희망하는 사람에게 구직지원과 생계지원을 함께 제공하는 제도.
2025년 기준, 1유형(구직촉진수당 지급)과 2유형(취업지원만)으로 나뉜다.
항목 | 공통 조건 | 1유형 | 2유형 |
연령 | 만 15세 ~ 69세 | 동일 | 동일 |
취업 상태 | 미취업 상태 (단기 알바, 일용직은 일부 예외 인정) | 동일 | 동일 |
소득 기준 | 중위소득 60% 이하 | 중위소득 100~120% 이하까지 가능 | |
재산 기준 | 4억 원 이하 | 동일 | 동일 |
참여 제한 | 실업급여 수급자, 고용노동부 유사 프로그램 중복 참여자 제한 | 동일 | 동일 |
※ 2025년 기준 중위소득 1인 가구 약 130만 원 수준 / 2인 약 220만 원 내외
기본적으로는 온라인 신청 시 자동 연동되지만, 아래는 수기 준비 시 필요한 서류다.
구분 | 제출 서류 | 비고 |
신분 확인 | 주민등록증 또는 운전면허증 | 방문 시 필수 |
소득 확인 |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소득금액증명 등 | 국세청 발급 |
재산 확인 | 가족관계증명서, 부동산 보유현황 등 | 필요 시 제출 |
구직 상태 확인 | 고용보험 피보험자 이력 내역서 | 일부 대상자만 |
기타 | 통장사본, 훈련 참여계획서 등 | 센터 요구 시 제출 |
※ 온라인 신청 시 대부분 자동 제출 가능하지만, 오류 있을 경우 수기로 요청받을 수 있음
① 온라인 신청 (간편)
② 방문 신청 (추천)
국민취업지원제도는 단순한 취업 상담 서비스가 아니다.
직업훈련, 이력서 컨설팅, 면접 준비, 훈련비 지원, 현금 지원까지 종합 패키지에 가깝다.
조건만 충족된다면 무조건 상담 받아보는 걸 추천한다.
특히 청년층, 중장년 구직자, 경력단절자, 수급자라면
실제 수당까지 받을 수 있으니 서류만 잘 챙겨도 큰 도움이 된다.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 실제 후기 – 구직촉진수당 받고 4개월 만에 취업 성공 (0) | 2025.04.07 |
---|---|
2025년 저소득층 건강보험료 경감제도 – 신청조건, 대상자 한눈에 정리 (0) | 2025.04.06 |
나에게 맞는 유형은? 국민취업지원제도 제대로 선택하는 법 (0) | 2025.04.04 |
2025 저소득층 한시 긴급생활지원금 (직접 해봄) – 대상자, 신청방법 총정리 (1) | 2025.04.02 |
구직촉진수당 중단 사유 TOP 5 – 이런 실수, 정말 많습니다 (0)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