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개인정보 보호 강화! 2025년부터 달라지는 규정과 대응 방법

법률 정보 및 제도

by 3월의 축복 2025. 3. 13. 18:00

본문

개인정보 보호 강화! 2025년부터 달라지는 규정과 대응 방법

개인정보 보호법 강화, 왜 중요할까?

디지털 시대가 발전하면서 개인정보 유출과 불법 활용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개인정보 보호를 강화하는 법안을 개정하고, 위반 시 처벌을 대폭 강화할 예정이다.

2025년부터 시행될 개인정보 보호법 개정안은 기업의 개인정보 관리 의무를 강화하고, 개인의 데이터 주권을 보호하는 방향으로 개편된다. 기업과 개인 모두 이 변화를 정확히 이해하고 대비해야 한다.

 

1. 2025년 개인정보 보호법 개정의 핵심 변화

① 개인정보 유출 시 기업 책임 강화

  • 기존: 개인정보 유출 시 기업이 일정 기준 충족 시 면책 가능
  • 변경: 기업의 보호 조치가 미흡하면 무조건 법적 책임 부과
  • 개인정보 유출이 발생할 경우 즉시 신고 및 피해 보상 조치 의무화

- 기업이 해야 할 일

  • 데이터 암호화 및 접근 통제 강화
  • 개인정보 유출 대응 프로세스 사전 구축

 

② 개인정보 처리 동의 절차 강화

  • 기존: 개인정보 수집 시 일반적인 동의 방식 허용
  • 변경: 세분화된 동의 절차 도입 (목적별·항목별 동의 필수)
  • 이용자는 특정 목적에 대해서만 동의 가능

- 개인이 유의해야 할 점

  • 개인정보 제공 시 필요한 항목만 동의하고 불필요한 항목은 거부 가능
  • 서비스 가입 시 개인정보 활용 범위를 꼼꼼히 확인

 

③ AI·빅데이터 활용 시 개인정보 보호 기준 강화

AI와 빅데이터 기술이 발전하면서 개인정보가 무분별하게 수집·분석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규제가 추가된다.

  • 기업이 AI 알고리즘을 이용해 개인정보를 분석할 경우 개인 동의 필수
  • 자동화된 AI 결정(예: 신용 평가, 채용 심사 등) 시 이의 제기권 보장
  •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기준 강화

- 개인이 유의해야 할 점

  • AI 기반 서비스 이용 시 개인정보 활용 여부 확인
  • 자동화된 신용 평가·채용 결과에 대해 이의 신청 가능 여부 체크

 

④ 개인정보 유출 시 처벌 및 과징금 강화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발생하면 기업과 책임자에게 부과되는 과징금이 대폭 증가한다.

  • 기존: 위반 시 매출의 3% 이하 과징금
  • 변경: 위반 시 매출의 최대 5% 과징금 부과 가능
  • 고의적 개인정보 유출 시 경영진 형사처벌 가능

- 기업이 해야 할 일

  • 내부 보안 점검 강화 및 직원 교육 필수
  •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DPO) 지정 의무화

 

⑤ 해외 개인정보 전송 규제 강화

개인정보를 해외 서버로 이전하는 경우, 데이터 보호 수준이 강화된다.

  • 기업이 개인정보를 해외로 이전하려면 이용자 동의를 별도로 받아야 함
  • 글로벌 기업(예: 구글, 페이스북)도 한국 개인정보 보호법을 준수해야 함

- 개인이 유의해야 할 점

  • 해외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 시 개인정보 저장 위치 확인
  • 외국계 서비스 이용 전 데이터 보호 정책 검토

 

2. 2025년 개인정보 보호법 개정에 따른 기업과 개인의 대응 전략

① 기업이 해야 할 대응 조치

- 개인정보 보호 정책 강화

  • 데이터 암호화 및 접근 통제 시스템 도입
  • 개인정보 유출 대응 매뉴얼 구축

- 고객 동의 절차 개편

  • 개인정보 수집 시 세분화된 동의 항목 추가
  • 불필요한 데이터 수집 최소화

- 내부 직원 교육 강화

  • 개인정보 처리 담당자 대상 정기 교육 실시
  • 보안 사고 발생 시 대응 프로세스 정비

 

② 개인이 해야 할 개인정보 보호 조치

- 서비스 가입 시 개인정보 제공 범위 확인

  • 불필요한 개인정보 요구 시 거부
  • SNS·쇼핑몰에서 최소한의 정보만 입력

- AI 서비스 이용 시 개인정보 활용 여부 검토

  • 자동화된 AI 결정에 대한 이의 신청 가능 여부 체크
  • AI 기반 광고·추천 서비스 설정 변경 가능

- 금융·쇼핑 사이트 비밀번호 정기 변경

  • 동일한 비밀번호 사용 지양
  • OTP, 2단계 인증 활성화

 

따라서 2025년부터 개인정보 보호 강화, 대비가 필수

2025년 개인정보 보호법 개정으로 인해 기업의 책임이 강화되고, 개인의 데이터 보호 권한이 확대된다.

- 기업은 개인정보 보호 시스템을 강화하고, 직원 교육과 보안 점검을 철저히 해야 한다.
- 개인은 개인정보 제공 시 신중하게 검토하고, AI 및 빅데이터 활용 서비스의 개인정보 보호 기준을 확인해야 한다.

변경되는 법규를 숙지하고, 미리 대응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