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에도 구직자에게 가장 실질적인 취업 지원 제도는
단연 국민취업지원제도다.
구직촉진수당, 직업훈련, 상담, 취업 알선, 자격증 지원 등
다양한 지원이 하나로 통합돼 있는 제도이기 때문에
취업을 준비하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알아두는 게 좋다.
하지만 막상 신청하려고 보면
1유형, 2유형이 나뉘고
소득 기준, 재산 기준, 필요 서류까지
헷갈리는 부분이 많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정리된 국민취업지원제도의 신청 조건과 준비서류를
가장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보았다.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유형 | 대상 | 특징 |
1유형 | 저소득 미취업자 | 최대 300만원(월 50만 x 6개월) 수당 + 취업지원서비스 |
2유형 | 청년, 경력단절자 등 | 수당은 없고, 직업훈련·상담 등 취업서비스 제공 |
■ 공통 자격 (1유형, 2유형 공통)
■ 1유형 신청 조건 (구직촉진수당 지급 대상)
구분 | 기준 |
소득 | 가구 중위소득 60% 이하 (2025년 1인 기준 약 1,298,000원) |
재산 | 총 가구 재산 4억원 이하 |
취업 상태 | 현재 미취업 상태 |
참여 의지 | 고용센터와 취업활동계획 수립 + 이행 의지 필요 |
→ 조건 충족 시 월 50만원씩 최대 6개월간 구직촉진수당 지급
■ 2유형 신청 조건 (수당 없이 취업서비스만 제공)
대상 범위가 더 넓고, 재산·소득 기준이 없음.
※ 단, 2유형은 자체 심사 기준에 따라 선정되므로 고용센터 상담 필수
국민취업지원제도 신청 시,
온라인 신청을 하더라도 일부 서류는 제출하거나 확인을 위한 절차가 필요하다.
① 공통 제출 서류
② 상황별 추가 서류
※ 일부 서류는 고용센터 또는 행정정보 공동이용망으로 자동 조회됨
① 온라인 신청 (워크넷)
② 오프라인 신청
※ 온라인 신청 후에도 최종 참여 결정은 고용센터 면담 이후 확정
구직촉진수당 중단 사유 TOP 5 – 이런 실수, 정말 많습니다 (0) | 2025.03.31 |
---|---|
국민취업지원제도 참여 후기 – 면접과 직업훈련, 해보니 이랬습니다 (2) | 2025.03.30 |
구직촉진수당, 누구까지 받을 수 있나? 국민취업지원제도와의 핵심 비교 (0) | 2025.03.28 |
기초생활수급자 혜택 2025년판 – 바뀐 조건과 금액 총정리! (0) | 2025.03.27 |
2025년 근로장려금 얼마나 받을까? 가구별 계산법 정리 (0) | 2025.03.23 |